본문 바로가기
AI/AI 관련 뉴스 & 사설

AI 주민과 가상 마을: 스탠퍼드 실험이 보여준 미래

by Oceancold 2025. 3. 24.

인간 없는 사회, 그 속에 AI가 산다면?

 

AI가 사람처럼 행동하고,

 

사람처럼 말하고,

 

심지어 사람처럼 사회를 이룬다면 어떤 세상이 펼쳐질까요?

 

 

스탠퍼드 대학이 최근 선보인 한 실험은 이 질문에 대한 실마리를 제시합니다.

 

 

단순한 시뮬레이션이 아닙니다.

 

실제로 AI를 하나의 '사회 구성원'으로 설정해,

 

그들이 서로 상호작용하고,

 

루틴을 만들고,

 

감정마저 흉내 내며 살아가는 가상 마을을 만들어낸 것입니다.

 

 

이 실험은 단순한 기술적 퍼포먼스를 넘어, 

 

인간 사회의 본질과 AI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매우 중요한 질문을 던집니다.

 

그 결과는 AI의 가능성과 동시에,

 

우리가 어디까지 ‘진짜 사회’를 AI와 공유할 준비가 되었는지를 되묻게 합니다.

 

 

 

 

스탠퍼드의 AI 가상 마을 실험: 어떻게 구성되었는가

2023년 스탠퍼드 대학의 연구팀은

 

OpenAI의 GPT 모델을 기반으로 한 25개의 에이전트를 생성하고,

 

이들을 픽셀 아트 스타일의 가상공간 ‘스몰빌(Smallville)’에 배치했습니다.

 

각각의 AI 주민은 개별적인 성격, 직업, 일상 루틴, 목표, 기억 시스템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들은 단순한 명령어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각자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갔습니다.

 

 

 

예를 들어, 

 

한 AI 캐릭터는 “오후에 파티를 준비해야 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이 사실을 친구들에게 공유하며, 

 

다른 AI 캐릭터들도 그 계획에 맞춰 행동을 조정했습니다. 

 

심지어 어떤 캐릭터는 파티가 끝난 뒤 

 

“즐거운 시간이었어. 고마워.” 

 

같은 말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입력-출력 구조가 아닌, 

 

맥락에 따른 대화와 행동 흐름이 실제로 재현되었다는 뜻입니다.

 

 

이 실험은 구글 딥마인드와의 공동 연구로도 알려져 있으며, 

 

관련 논문은 

 

“Generative Agents: Interactive Simulacra of Human Behavior”

 

라는 제목으로 공개되었습니다.

 

 

 

 

 

이 실험이 시사하는 것: 단순한 흥밋거리를 넘어

이 AI 가상 마을 실험이 흥미로운 이유는

 

단순히 “AI가 똑똑해졌다”는 데 있지 않습니다.

 

핵심은 AI들이 ‘사회적 관계’를 스스로 형성하고 유지했다는 것입니다.

 

 

인간이 개입하지 않아도 AI끼리 자연스럽게 교류하고,

 

기억에 기반한 의사결정을 하며,

 

상황에 따라 감정적인 반응을 모방하는 등,

 

고차원적인 상호작용을 수행했다는 점이 주목받습니다.

 

 

 

 

 

 

 

실제로 이 연구는 

 

게임 개발, 메타버스, 가상현실, 디지털 트윈, 사회학적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NPC들이 정해진 대사만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유저처럼 상황에 따라 대응하고 변화할 수 있다면 

 

몰입감은 지금보다 훨씬 높아질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정책 시뮬레이션이나 도시 계획군중 행동 분석 같은 분야에서도 

 

실제 인구를 대체하는 “AI 기반 사회 모델”이 활용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됩니다. 

 

인간이 아닌 존재들이 이처럼 정교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다면,

 

미래 도시의 설계나 공공 시스템의 예측 실험에도 응용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술은 어디까지 왔고, 우리는 어디까지 받아들일 준비가 되었는가

 

AI 주민 실험은 분명 미래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현실적인 고민도 함께 안겨줍니다.

 

 

AI가 감정을 흉내 내고 사회를 구성한다면,

 

 

우리는 어디까지 그것을

 

 

‘인간과 유사한 존재’로 받아들일 수 있을까요?

 

 

그리고 그들의 말과 행동에

 

 

도덕적 책임이나 권리를 부여할 준비가 되었을까요?

 

 

또한, 이들이 만들어낸 가상의 사회가

 

실제 인간 사회의 축소판이 될 수 있는지도

 

여전히 논쟁의 대상입니다.

 

기억과 맥락에 기반한 행동은 가능할지 몰라도, 

 

인간 고유의 자의식, 정체성, 무의식

 

과연 AI가 담을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AI는 지금 ‘사회’를 연습하고 있다

스탠퍼드의 이 실험은

 

단지 AI가 ‘말을 잘한다’는 차원이 아니라, 

 

‘살아간다’는 시뮬레이션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깊은 울림을 줍니다.

 

그리고 이는 곧,

 

우리가 AI를 단순한 도구로만 볼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간 사회는 관계로 이뤄져 있고,

 

관계는 기억과 감정, 맥락 속에서 작동합니다.

 

 

이번 실험은 그 일부를

 

AI가 스스로 생성하고 유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입니다.

 

기술은 이미 우리 앞에 와 있습니다.

 

그리고 질문은 남습니다.

 

 

우리는 이들과 함께 살아갈 준비가 되었을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참고 출처

 

관련 보도: MIT Technology Review, The Verge 외

스탠퍼드 HAI 공식 소개: https://hai.stanford.edu/news/generative-agents

Generative Agents 논문: https://arxiv.org/abs/2304.03442